
들어가며
초반에 마주치는 문제 중 하나인, “이 파일의 크기가 이 사이트의 최대 업로드 용량을 초과합니다.” 문제의 해결 방법을 다룹니다. 워드프레스에서 기본으로 설정된 2MB의 용량을 변경해 봅시다.

글에서 사용된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NAS: Synology DS920+
- DSM: 7.1.1-42962 Update 1
- Docker: 20.10.3-1308 패키지
- WordPress: 6.0.3
- macOS Ventura 13.0(22A380)
사전 작업
SSH 서비스 활성화
시놀로지 나스에 터미널에 접속하기 위해 SSH 서비스를 활성화 시켜야 합니다.
‘제어판’ -> ‘터미널 및 SNMP’에서 ‘SSH 서비스 활성화’ 왼쪽의 체크박스에 체크하고 ‘적용’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설정하기
터미널로 NAS에 접속하기
macOS에서 F4키를 눌러 Spotlight 검색을 열고 “terminal” 혹은 “터미널”을 입력해 열어주세요.

터미널에서 ssh “username”@”domain or ip” -p “port” 를 입력하고 엔터, 패스워드를 입력해 나스에 접속해 주세요.
* 포트를 변경하셨다면 -p 뒤에 포트를 입력해 주세요.
> ssh snadmin@192.168.1.201 -p 22
password :

WordPress 컨테이너에 접근하기
sudo docker container exec -u 0 -it “컨테이너 이름” bash 로 컨테이너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> sudo docker container exec -u 0 -it wordpress bash

vim 설치하기
수정을 위해서 ‘vim’이 필요합니다.
‘apt-get’을 사용해 ‘vim’을 다운로드합니다.
> apt-get update
...
> apt-get install vim
...
.htaccess 수정
‘vim’을 사용해 ‘.htaccess’를 수정합니다.
> vi .htaccess
‘.htaccess’ 최하단에서 “#END WordPress”를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.
‘i’키를 눌러 ‘insert’ 모드로 전환해주시고 다음 값을 “#END WordPress” 아래에 입력해 주세요.
# END WordPress
php_value upload_max_filesize 128M
php_value post_max_size 256M
php_value max_input_time 60
php_value memory_limit 512M
설명 | 파라미터 | 추천 값 |
업로드 가능 최대 용량 | upload_max_filesize | 128M |
post 전송 최대 용량 | post_max_size | 256M |
업로드 시간 제한(값을 -1로 하면 무제한) | max_input_time | 60 |
php의 메모리 제한 | memory_limit | 512M |
‘max_input_time’는 기본값이 60으로, 변경할 생각이 없다면 넘어가 주세요.

저장은 ‘esc 키’를 누른 후 “wq”를 적으면 터미널 왼쪽 하단에 “wq”가 쳐진 걸 볼 수 있는데, 그 상태에서 ‘엔터키’를 입력해 주세요.
마무리
워드프레스 컨테이너 다시 시작
도커에서 워드프레스 컨테이너를 다시 시작해 주세요.

SSH 서비스 비활성화
보안을 위해서 ssh 접속은 꼭 비활성화 해주세요.

마치며…
워드프레스 글 작성으로 돌아와, 사진 업로드를 다시 시도해 보세요.
용량이 어느 정도 큰 사진도 정상적으로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

아마 많은 분들이 “이 파일의 크기가 이 사이트의 최대 업로드 용량을 초과합니다.” 문구를 마주했을 때, 워드프레스 관리 페이지의 설정에서 답을 찾으려 하셨을 거라 추측됩니다. 적잖이 당황하셨을 텐데 이 글이 답을 찾으러 온 방문자님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.